♣.성경강해/창세기 강해81 35강. 죄인의 한계와 실상 (창 19:30-38) ♣ -.35강. 죄인의 한계와 실상 (창 19:30-38).- -.정낙원 목사 오늘 본문이 참 난해합니다. 인간의 윤리 도덕적인 기준으로 이해를 하면 전혀 이해를 못합니다. 왜 성경에 이런 추접한 얘기를 써놓았을까요?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우리가 추접한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의 이야기가 추접한 죄인들을 구원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일관되게 흐르는 한 사상이 있는데 하나님께서 죄인을 구원하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놓치면 안 됩니다. 최초에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심판한 것이 노아 홍수로 하셨습니다. 홍수를 벗어나서 노아가 무슨 일을 합니까? 수치를 드러내는 일을 하지요. 타락해요. 오늘 본문도 마찬가지에요. 롯이 멸망당하는 소돔 고모라로부터 빼내심을 입습니다. 이것은 홍수 속에서 노아 가족이 .. 2021. 4. 5. 34강. 여호와께서 인자를 더하심 (창 19:12-29) ♣ -.34강. 여호와께서 인자를 더하심 (창 19:12-29).- -.정낙원 목사 베드로는 소돔 고모라의 유황불 심판을 장차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멸하실 것을 미리 예표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구약에 일어났던 이 일들은 신약에서 일어날 일들을 샘플로 미리 보여 주신 것이니까 잘 보고 경계로 삼으라는 말입니다. 성경을 읽으실 때 구약은 항상 신약을 전제로 해서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셔야 합니다. 구약의 이스라엘을 통해서 말씀하시는 것은 신약의 교회에게 말씀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지금 하나님께서는 소돔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를 가지고 우리에게 경계로 주시고 있는 것입니다. 어느 시대이고 구약에 일어났던 사건들은 동일하게 교회 안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구약에서는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를.. 2021. 4. 2. 33강. 소돔 고모라의 죄 (창 19:1-12) ♣ -.33강. 소돔 고모라의 죄 (창 19:1-12).- -.정낙원 목사 오늘 말씀은 우리에게 경고의 말씀이기도 하고 위로의 말씀이기도 합니다. 소돔 고모라는 하나님께 유황불 심판을 받은 곳입니다. 베드로는 하나님께서 소돔 고모라를 멸망하신 것은 후세의 경건치 못한 사람들에게 본으로 보여주시려고 하신 사건이라고 했습니다. 이 말은 곧 이 세상은 소돔 고모라와 같이 멸망을 받아야 하는 곳이란 뜻입니다. 이건 우리에게 경고의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런 멸망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을 구원을 해내신다는 소망도 있습니다. 롯의 구원은 곧 우리의 구원과도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실 때 아브라함을 기억하사 롯을 구원해 주셨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위로를 받아야지요.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 2021. 3. 26. 32강. 나를 위해 기도하는 의인이 있느냐? (창 18:16-33) ♣ 32강. 나를 위해 기도하는 의인이 있느냐? (창 18:16-33) -.정낙원 목사 하나님께서 롯을 구원한 것은 아브라함 때문입니다. 그럼 우리는 이렇게 물어야 합니다. 하나님 날 위하여 기도해 줄 의인은 어디에 있습니까? 라고,,, 그럼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대신 기도해 주시는 의인을 알려 주십니다. 오늘은 그 의인이 누구인지를 찾아봅시다. 롯이 어떻게 살았나요? 아브라함의 기도 때문입니다. 그럼 우리는 오늘 본문을 통해서 무엇을 보아야 하는가 하면 ‘나를 위하여 기도해 줄 의인이 있느냐?’ 라는 것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결론부터 말합니다. 모든 성경은 누구 이야기입니까? 예수님 이야기이지요. 우리가 누구 때문에 구원을 받습니까? 예수님 때문입니다. 우리를 위하여 누가 기도하고 있습니까? 예수님.. 2021. 3. 22. 31강. 나그네 영접 (창 18:1-15) ♣ 31강. 나그네 영접 (창 18:1-15) -.정낙원 목사 이 세상은 독자적으로 운행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섭리로 운행됩니다. 그것은 이 세상 자체가 하나님의 뜻에 의하여 창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창세기 1장 1절의 창조 라는 말은 “~ ~ 말미암아” 라는 뜻을 담고 있어요. 이는 어떤 원인에 의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란 뜻입니다. 그 원인이 무엇이냐 하면 창세전 언약입니다. 언약이 먼저이고 창조가 나중입니다. 모든 피조물들은 언약을 위하여 창조가 되었습니다. 만물 자체가 언약에 의하여 창조 되었고 언약을 위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창세전에 계획하셨던 것을 역사 속에서 풀어 가십니다. 마치 화가가 머릿속에 있는 그림을 도화지에 그려내는 것과 같아요. 하나님이 창세전에 계획하.. 2021. 3. 20. 30강. 비웃음의 아들 (창 17:15-27) 하나님께서는 창조주이고 우리는 피조물입니다. 피조물 입장에서 창조주를 알 수 있는 길은 없습니다. 창조주가 스스로를 계시해주기 전에는 피조물 입장에서는 하나님을 알 방법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들에게 성경을 주셔서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성경은 우리가 어떻게 하면 이 땅에서 복 받고 잘 살 것인가? 혹은 어떻게 하면 이 땅에서 병들지 않고 건강하게 잘 살 것인가? 하는 것을 주제로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은 세상에 관한 이야기가 아닌 세상 바깥에 있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창세전에 언약 하신 것이 이 땅에서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자기 백성들 구원하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교회를 일컬어 흔히 하나님 나라요 천국이라고 말을 합.. 2021. 3. 17. 29강. 할례 언약과 새 이름 (창 17:1-16) 죄인은 무슨 일이든지 자기 입장에서 해석을 합니다. 모든 인간들은 항상 나는 선한 쪽에 세워두고서 나와 뜻을 달리하면 악으로 규정하는 습성을 지니고 살아갑니다. 자기 유익을 위하여 살아가는 인간들에게는 영원한 적도 없고 영원한 동지도 없어요. 세상에는 선과 악이 정해진 게 없어요. 나에게 잘해주면 선이고 나에게 해를 끼치면 악이에요. 내 유익에 따라서 수시로 바뀌어요. 오늘 좋다가도 내일 원수가 되어요. 친구이든, 부부이든, 형제이든, 부모이든, 나에게 잘해주면 선이고 나에게 못해주면 악이에요. 이것은 우리의 사고가 자기 유익에 따라서 선과 악을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사고가 신을 섬기는 데에도 그대로 나타납니다. 나에게 잘해주면 신으로 대접을 하고, 나에게 잘 해주지 않으면 신으로 대접하지.. 2021. 3. 15. 28강. 아브람과 하갈 그리고 이스마엘 (창 16:1-16) 마가 13 5~6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와서 이르되 내가 그라 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하리라 -.28강. 아브람과 하갈 그리고 이스마엘 (창 16:1-16).- -.정낙원 목사 하나님은 언약으로 일을 하십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하나님께서는 먼저 자기 백성들에게 언약을 주십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 언약을 이루어 가십니다. 그런데 이 언약이 우리 눈에는 기이해 보여요. 도무지 믿을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도무지 믿기지도 않고 육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인간의 상식 밖으로 일을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에게 믿음을 주셨습니다. 믿음을 준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로는, 하나님의 언약을 믿게 하기.. 2021. 3. 11. 27강. 언약 속에 담긴 성도의 운명 (창 15:1-21) 마가 13 5~6 예수께서 이르시되 너희가 사람의 미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와서 이르되 내가 그라 하여 많은 사람을 미혹하리라 -.27강. 언약 속에 담긴 성도의 운명 (창 15:1-21).- -.정낙원 목사 오늘 본문을 보면 하나님께서 아브람에게 후사를 주겠다고 하십니다. 후사를 준다는 말은 아브람을 조상으로 삼게 한다는 뜻입니다. 성경은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이라고 합니다. 조상이라는 말에는 혈통적인 것과 영적인 것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구약과 신약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구약은 혈통적으로 육적 이스라엘의 조상입니다. 그러나 신약적 의미로는 믿음으로 난 영적 이스라엘의 조상입니다. 영적으로 보면 아브라함은 예수님을 예표합니다. 그러므로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우리의 조상.. 2021. 2. 28.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